티스토리 뷰
우울증 진단기준
안녕하세요! 지식안내 입니다. 최근에 마광수 교수가 심각한 우울증으로 극단적인 선택으로 자살을 하였는데 우울증은 세계적으로 3억명 이상 앓고 있어 국내에서도 평생 우울증을 겪는 비율은 5%로 남성보다는 여성이 2배 이상 많다고 합니다. 최근들어 2주이상 우울한 기분과 함께 모든 생활에서 흥미나 즐거움이 생기지 않으며 무기력한 느낌이 계속들면 우울증을 한번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오늘 지식안내에서는 우울증 진단기준 에 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우울증은 병명과 같이 우울증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하는 질환입니다. 슬픈감정 과 스트레스 가 겹치면 누구나 우울해지거나 기분이 가라앉기도 합니다. 우울증과 우울증의 상태에 많은 유사점이 있으나 명확하게 구별하기가 어렵습니다. 즉, 양자는 병적질환인지 아닌지의 차이에 불과한 것입니다. 병적이 아닌 우울증은 일시적인 것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우울증은 스스로 회복하는 것은 꽤 어렵고 장기간 지속됩니다.
또한 우울증 진단기준 은 다양한 신체증상이 나타납니다. 우울한 감정 등의 정신적인 부분과 수면 장애 , 식욕부진 등의 신체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신체의 질병이라는 가면을 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해서 가면 우울증이라고 불리기도합니다.
우울증 진단기준 으로 정신적인 증상으로는 기분, 의욕, 사고의 저하가 나타납니다. 우울증은 우울증을 나타내는 기분의 저하가 맨 먼저 나타나고, 증상이 조금 심해지면 의욕이 없어지고, 생각과 판단력이 저하됩니다. 또한 증상이 심해지면 얼굴과 태도, 말투, 행동의 모습에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게됩니다.
우울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기분저하를 들 수 있는데 기분이 몹시 우울하거나, 우울한 기분 변화가 나타나 몹시 불안해지고, 불안과 초조가 나타납니다. 표정에서 미소가 사라지며 이유없이 눈물을 흘리기도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아침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며 저녁이되면 조금 좋아지는 변화를 볼 수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기분의 저하가 심해지면 자책감이나 죄책감을 느끼게되고, 중증이되면 죽고 싶은 기분이 나타납니다.
매사에 의욕을 잃어 버리고 무기력 상태가 되는 의욕저하가 나타나니다. 취미나 기타 생할에서 지금까지 처럼 흥미나 관심을 가질 수 없게되어 무언가를하는 것도 귀찮게 느끼지게 되어서 기분 전환을 도모하기 어려워지며 휴일에는 잠자리에서 하루 종일 보내게됩니다. 또한 의욕의 저하가 심해지면 학업이나 직장, 집안일에 지장이 생기게되며 등교거부 나 출근거부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머리가 멍해지며 생각이 정리가 어렵습니다. 사물에 집중할 수 없게되어, 주의력이 저하될 뿐만아니라 판단력도 둔화되어 결단을 내릴 수 어렵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생각과 행동에 자신감을 가질 수 없게되어 사물을 나쁜 방향으로 생각하거나 비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중증이 되면 돌이킬 수없는 죄를 저지른 것으로 여겨지거나 불치병에 걸려 버린 것으로 아주 심한 망상 등을 호소하기도합니다.
우울증은 신체 곳곳에서 문제점이 나타나게됩니다. 수면 장애 , 식욕감퇴, 체중 감소 , 전신의 나른함 등 많은 우울증에 보이는 신체증상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신체증상에 특히 주의해야하는 것이 수면 장애 입니다. 수면 장애 는 우울증의 신체적 증상으로 거의 모든 사람에 출현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우울증에 나타나는 수면 장애 로는 불면증이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수면 부족 이 20%를 차지합니다. 특히 평소보다 빨리 깨어나는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식욕부진과 체중감소도 거의 우울증 증상입니다. 무엇을 먹어도 맛있지 않고 맛을 모르겠으며, 모래를 씹는듯한 느낌이 나타나고 막연한 의무감에서 식사를 하게됩니다. 식욕이 저하되면 사람에 따라 1~2개월 만에 체중이 5~10kg이나 줄어들 수 있습니다.
우울증이되면 특히 몸을 격렬하게 움직이거나 과로하는 것도 아닌데 온몸이 나른함이 느껴지고 쉽게 피로를 느낌니다. 우울증의 피로는 휴식을 취해도 피로가 가시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나른함과 피로가 하루에도 변동이 심하고 아침에 심하게 나타나며 오후나 저녁에는 바뀔 수 있습니다.
또다른 신체증상으로는 신체 전신으로 나타납니다. 땀, 현기증, 마비, 갈증, 흉부 압박감, 호흡곤란, 머리가 무거운 느낌, 두통, 두근거림 등의 자율신경 증상과 변비와 설사, 메스꺼움과 구토, 복통, 복부 팽만감 등의 위장증상 등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그 외, 성욕 의 감퇴도 잘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입니다.
이상과 같이 우울증 진단기준 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우울증은 식욕부진, 집중력 감소, 불안, 우유부단, 침착하지 못함, 무가치한 느낌, 죄책감, 절망감, 자해 또는 자살 생각 등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정신이 나약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증상입니다. 다른질병과 마찬가지로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니 주위의 도움을 청해보시고 가까운 전문가에게 도움을 청하기시 바랍니다.
'건강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혈증 증세 알아보기 (0) | 2017.09.23 |
---|---|
폐 건강에 좋은음식 11가지 (1) | 2017.09.22 |
구취제거 방법 (1) | 2017.09.21 |
폐 건강관리 방법 (0) | 2017.09.20 |
당뇨발 관리 방법 (당뇨병성 족부병증) (1) | 2017.09.19 |
- Total
- Today
- Yesterday
- 바나나 효능
- 디딤돌 대출
- 약국비타민
- NH농협은행
- 뇌졸중
- 스트레스
- 폐렴
- 구취
- 생활습관
- 치아 건강
- IBK기업은행
- 심근경색
- 신한은행
- 치아
- KEB하나은행
- 국민은행
- 고혈압
- 신용 대출
- 우대금리
- 비타민
- 열사병
- 우리은행
- 비만
- 혈압
- 식이섬유
- 치매
- KB국민은행
- 건강
- 보험
- 당뇨병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