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건강한 생활

피부 건조증 알아보기

지구유 2017. 5. 16. 09:51

피부 건조증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지식안내 입니다. 날씨가 더워지며 주위의 사람들의 옷차림이 확연하게 달라지는것을 느끼실 것 입니댜. 그러나 이러 시기의 계절일수록 건강관리에 신경을 써야하고 특별히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합니다. 그 이유로는 하루의 일교차가 크며 면역력이 많이 떨어지고 꽃가루와 황사 더 나아가서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나 피부질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신경이 필요한 계절입니다. 그리고 야외 나들이 하기에 참 좋은 계절이기에 위에서 말씀드린 황사와 꽃가루 그리고 심각한 미세먼지 때문에 필히 마스크와 선글라스를 꼭 챙기는 것도 잊지마셔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 지식안내에서는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우리가 꼭 알아야할 피부 건조증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부 건조증은 피부표면이 지질 감소와 더불어 천연보습성분의 감소로 피부가 하얗게 일어나거나 울긋불긋해지며 가려움증이 생기고 심한 경우 갈라지기까지 하는 피부 상태를 흔히 피부 건조증이라 부릅니다. 겨울철 노인에게서자주 발생하며 노인 피부 중에서도 특히 하지의 신측에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피부 건조증 자주 발생하는 특징으로는 미세한 비늘인데 주로 팔, 다리에서 나타나고 특히 정강이 부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데 이는 전신적인 긁고 싶어지는 일종의 불쾌한 감각이 동반되는것이 증상입니다. 이러한 증상이 계속해서 주기적으로 진행함으로 우리의 피부는 점진적으로 정상적인 피부가 아닌, 예를들면 오랜된 도자기 그릇에 금이 간 것과 같은 모양의 피부균열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손과 발이 건조해지고 균열이 생길 수 있습니다. 




피부 건조증의 가장 중요한 치료는 가려운증의 예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샤워시 미지근한 물을 사용해 가볍게 닦아주고 되도록이면 면 소재의 옷을 입어야 피부 건조증으로 야기되는 가려움증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실내의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습기나 젖은 빨래 등을 이용하여 실내 환경을 건조하지 않게 만들어주여아 하며 증상이 심한 경우 경구 항히스타민제, 국소 및 전신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한 치료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외출시 황사는 피부에 해로운 산성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외출후에는 세안을 할 때 평소보다 꼼꼼히 구석구석 깨끗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근본적인 피부 건조증 원인은 수부부족이기 때문에 고온건조한 공기 탓에 피부 속 수분이 정상의 10% 수준으로 떨어지며서 피부 건조증 이 발생하므로 물을 수시로 마셔주며 샤워 후 바로 보습제를 발라주어야 합니다. 

또한 반드시 바꿔야 할 습관이 있는데 바로 흡연을 들 수 있습니다. 니코틴은 피부 모세혈관을 수축시켜 피부에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 공급을 방해하며 비타민 C를 파괴하기도 해 피부 세포의 재생 능력을 감소시켜 피부 노화를 촉진시키는 주요 원인이며 피부 건조증 예방을 위해서는 금연은 필수입니다. 

피부 건조증에 가장 무서운 것은 자외선 노출인데 피부노화의 주범인 만큼 신경을 써야하고 기미, 주근깨, 검버섯, 주름을 막기 위해서는 자외선을 피해야하는데 외출시는 반드시 자외선차단제를 꼼꼼히 바르고 다녀야 합니다. 외출 30분전에 자외선차단제를 발라주어야 하며 또한 세안시에는 충분한 거품으로 자외선차단제를 깨끗하게 씽서내야 피부에 자극을 피할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피부 건조증 예방을 위하여 우리가 신경을 쎠야하는 부분은 비타민 C, E를 섭취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피부탄력에 도움을 주고 콜라겐 형성에 반드시 필요하며 기미, 주근깨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감귤이나 딸기, 토마토, 시금치, 참깨, 콩류의 식품을 섭취하시는 방법으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피부 건조증 치료의 기본은 피부 표면에 수분을 원활히 공급하며 유지하는 것으로 외부의 유해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환경적인 원인을 개선하고 따뜻한 기후와 피부 표피층의 수분을 증가시키는 모든 상황이 피부 건조증 을 유발할수 있는 원인을 제거해줄수 있으며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지름길입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