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사병 과 열사병 의 차이

안녕하세요! 지식안내 입니다. 최근 온난화가 진행되고 여름에는 35도를 넘는 덥고 습한 마른 장마에 폭염까지 겹치면 일사병 과 열사병 등 온열 질환자가 많히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무더운 여름철에 발생하는 온열 질환자인 일사병과 열사병 이 발생하였을 경우 각 증상별로 신속하고 빠른 조치와 대책이 필요합니다. 오늘 지식안내에서 여름철 온열 질환인 일사병과 열사병 의 차이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일사병 과 열사병 의 증상은 각기 다른데 일사병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사병 은 강하게 내리쬐는 햇빛에 오랜시간 노출되면서 전신 피로감, 메스꺼움, 하품이 나오기 시작하며 땀이 흥건하지만 피부는 오히려 파고 축축한 것이 특징입니다. 다음으로 두통이나 의식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열사병 은 고열의 환경에 노출되어 체온조절이 잘 되지 않을 때 나타나며 열사병 증상은 대부분 피부가 건조하고 뜨거운 경우가 많습니다. 더운 날씨에 심한 운동이나 일 등을 할 때 아주 많은 땀이 나고 몸 속의 수분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심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감소하고 이른바 탈수 가까운 증상 발생하는데 현기증이나 두통, 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심할 때는 의식불명으로 사망 할 수도 있습니다. 열사병 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장시간 걷거나 작업을 할 때 대량의 땀을 흘려 체내의 염분과 수분이 현저하게 부족하여 체온 조절이 효과가 없게되어 일어나는 증상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일사병 이나 열사병 은 실신(일사병), 열경련, 열피로, 열사병 의 4 가지로 분류됩니다. 최고 기온이 30도를 넘으면 열사병 사망자가 나오고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사망률이 급격히 올라갑니다.

일사병 과 열사병 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직사광선에 장시간 활동은 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특히 35도 이상의 환경에서 야외활동은 되도록이면 삼가하셔야 합니다. 열사병 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사이에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주 무더운 계절은 아침이나 저녁에도 열사병 이 발생할 수 있으니 항상 무더운 날씨에는 조심하셔야 합니다.

우리가 무더운 여름철 몸에서 발생하는 땀은 몸에서 열을 빼앗아 체온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그러나 잃어버린 수분을 보충하지 않으면 탈수되고, 체온 조절 능력이나 운동 능력이 저하됩니다. 더운 때 자주 수분과 염분을 자주 보충하여 주셔야 합니다. 


일사병 과 열사병 예방을 위해서는 흡습성이나 통기성이 좋은 옷을 착용하시기를 권해드리는데 피부의 열 을 낮추어주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더운 날씨에 가벼운 옷차림으로 소재도 흡습성이나 통기성이 좋은 것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야외에서 직사광선이 있는 경우에는 모자를 착용하는것도 일사병 과 열사병 을 예방하는데 도움이됩니다.

실내에서도 무더운 여름철에는 열사병 이 걸릴 수 있으니 선풍기나 에어컨을 사용한 실내 온도조절을 통하여 실내 온도를 낮추도록 하셔야 합니다. 실내에서 무더운 여름철 온도조절을 하지 않을 경우 열사병 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일사병 과 열사병 에 걸렸을 때에는 우선 시원한 장소로 이동하여 두통이나, 구토, 몸이 나른한 증상이나 하품이 나오는 등의 증상은 모두 일사병 초기의 증상입니다. 조금이라도 자신의 신체에 이상을 느끼면 즉시 시원한 장소로 이동합시다. 무더운 날씨에 야외에 있을때는 그늘이나 통풍이 좋은 장소를 찾아 이동 한 후 누워 몸을 쉬게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 다리를 높게하는 것도 유효합니다.

열사병 의 경우는 옷을 벗기고 몸에서 열을 방출시켜야 하는데 옷을 벗긴 후 공기중에 피부를 노출시키고 피부 물을 뿌리거나 시원한 바람을 일크켜서 더워진 몸으 온도를 낮춰주셔야 합니다. 차가운 페트병과 얼음 등 차가운 물건으로 목덜미, 겨드랑이, 허벅지관절 (안쪽)에 등의 온도를 낮춰주셔야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 인하여 혈액의 온도를 낮춰줘서 신체의 열을 식혀주셔야 합니다. 

열사병 에 걸렸을 때 수분과 염분을 섭취하여야 하는데 이런 행동은 열사병 예방뿐만 아니라 열사병 에 걸린 경우에도 마찬가지 입니다. 물 1리터에 소금 1~2g 넣어 마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스스로 물을 마실 수 없는 환자에게 무리하게 억지로 마시게 할 경우 자칫 잘못하면 폐에 들어가 버릴 위험이 있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